BOARD

Pharmaceutical Economics,
Big Data Analysis & Policy Lab

News

[한국일보]"혁신성 있는 신약, 우선 도입 후 사후 평가 강화해야" [혁신신약 정책방향 토론회](2024-06-27)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24-06-27 13:34 조회 260회 댓글 0건

본문

989e18cbb7237b8cc617b26b5a1509bf_1719462754_9413.JPG

정부가 요구하는 수준의 약효 근거가 다소 부족하더라도 환자에게 당장 필요한 혁신신약이라면 우선 도입해 쓸 수 있게 한 뒤 재정 건정성을 위해 후속 데이터를 보완하는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서혜선 경희대 약대 교수는 26일 ‘환자를 위한 혁신신약 정책방향 토론회'에서 "모든 약이 늘 충분한 근거를 갖출 수 있는 건 아니다"라면서 "불확실성을 일부 안고 개발된 신약은 먼저 도입하고 뒤이어 근거를 만들어 평가하는 접근법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국내 환자들의 신약 접근성 강화를 위해 혁신신약을 신속히 도입하되 한정된 건보 재정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지속해서 근거 데이터를 확보할 체계를 논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약값을 산정할 때 비교 대상이 되는 기존 의약품도 현실적으로 선정해야 한다고 서 교수는 조언했다. 건강보험 진입 과정에서 신약을 기존의 값싼 약들과 비교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다 보니, 오히려 도입이 지연되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혁신신약의 비교 약들은 이미 오래 전에 개발돼 저렴해진 약이 많으므로 비교 약 선정에 고민이 필요하다"면서 "품목 허가 목적으로 비교하는 약제와 약값 산정을 위해 비교하는 약제를 달리 하는 등 환자들에게 꼭 필요한 약은 전향적으로 제도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서 교수는 말했다.

26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한국일보 주최로 열린 '환자를 위한 혁신신약 정책방향 토론회'의 자리를 채운 많은 참관객들이 주제발표를 경청하고 있다. 최주연 기자

26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한국일보 주최로 열린 '환자를 위한 혁신신약 정책방향 토론회'의 자리를 채운 많은 참관객들이 주제발표를 경청하고 있다. 최주연 기자
국내 제약사들도 연구개발(R&D) 단계부터 약가 협상에 필요한 데이터를 준비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했다. 글로벌 신약에 비해 국산 신약은 임상시험 데이터가 부족해 '선도입 후평가'가 적용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서 교수는 "국산 신약도 임상 2, 3상 단계부터 약가의 근거를 함께 갖추는 절차를 확보한다면 도입 시점을 앞기고 혁신성을 더 크게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기사 원문은 링크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출처 : 한국일보 (한국일보 : 세상을 보는 균형 (hankookilbo.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